쇠고기 때문에 정신없었던 것이 여름인데 최근 멜라민 검출제품때문에 또 한차례 엄마들은 타격을 받았습니다.
과연 언제쯤이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먹거리들이 나올까요? 절대 있을 수 없는 이야기가 된 것만 같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식품중에도 있네요.
<농심 녹두국수 봄비, 백설 육개장, 롯데제과 애플쨈 쿠키, 농심 양파링, 오리온 카스타드>
남편은 커피를 매우 좋아하는데 대부분에 커피프리머에 들어가 있다고 하네요 ㅡ,.ㅡ
씁슬합니다.
아이들과자에 많은 성분으로 꼭 확인하시고 드실부분입니다.
아스파탐, 황산알루미늄칼륨, 합성착향료, 액상과당, 구아검...없는 것으로 구입하세요.
이렇게 믿고 먹거리를 구입할 수 없는 마당에 그래도 농부가 아닌 이상 자신이 기른 것을 원재료로 할 수 없으며, 어쩔땐 가공식품이나 통조림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지요.
알고 있다고 해도 자주 놓치는 식품별 식품 첨가물 제거법입니다.
1. 단무지
김밥을 좋아하니 자주 먹게 되지만 각종 화학첨가물이 들어있습니다. 완벽히 제거할 수는 없지만 찬물에 5분 이상 담궜다가 물로 세척한 뒤 식초와 설탕을 섞은 물에 담궜다 김밥을 싸면 싱거운 맛이 덜한 단무지가 됩니다.
2. 통조림
옥수수와 참치통조림은 자주 이용하게 되는 재료입니다.
일단, 체에 물기를 제거하고 물로 살짝 헹군 뒤 이용하고 개봉한 뒤에는 빨리 먹는 것이 좋습니다.
제 기억력으로는 통조림에 사용된 발색제는 대부분 수용성이거든요.
3. 햄, 게맛살, 라면, 어묵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이 바로 이 네가지 인데요. 최근엔 집에서 소시지를 만들어 드시기도 하지만 꽤나 번거로운 작업이며 우리집은 많이 먹지는 않아서 사다 먹곤 하거든요. 이 네가지의 들어있는 식품첨가물 또한 끓는 물에 데치면 나오는 수용성으로 알고 있어요. 하지만 제가 만든 것이 아니므로 알 수 없는 첨가물이나 재료가 들어있을 지도 모르니 가능하면 뒷부분을 읽어보시고 확인을 해보는 것이 좋겠어요.
식품첨가물 데이터베이스 http://fa.kfda.go.kr/
식품의약품 안전청 http://www.kfda.go.kr/index.html
식품이력정보
2006년부터 시범적으로 구축된 제도로 식품업체들이 안전성 확보를 위해 마련해 2012년까지 제도적 기반 및 인프라를 마련해 2013년 부터 의무화한다고 합니다.
생산단계에서 전자식벽태그를 부착해서 원재료정보, 생산이력,유통단계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알리며 문제발생시 신속한 차단 및 회수와 폐기조치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소비자 측면에서는 해당성분의 정보를 자세히 알 수 있으며, 원하는 생산방법으로 생산된 재료를 선택해 구입할 수 있어서 좋구요. 일단은 현대백화점, 홈플러스,킴스클럽, 이마트 등의 대형마트에서 시범사업에 참여한다고 합니다.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지만 확인의 용이성 및 문제발생시 대응력을 보고 판단해야되겟지요.
일단은 주부들에게 좀 더 세세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선 좋은 듯 합니다.
생협 <생활협동조합>
1980년대 중반 안전한 먹을 거리를 위한 취지로 일부 농민운동가와 이에 호응하는 소비자들이 만든 조합으로 친환경 농산물을 비롯해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공급하는 사업으로 발전됬어요.
한살림, 아이쿱생협, 두레생협 등의 이름으로 인터넷 사용맘들에게 많이 알려져있습니다.
웬만한 용품들과 안전성까지 확보하고 있으며 친환경 농산물을 시중가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어요.
크게 한국생협연합회, 한국여성민우회생협, 행협전국연합회, 한살림 등이 있으며 이들 단체는 각 각 새로운 소비자운동, 여성운동, 생명운동 등 기본적인 안전성있는 먹거리 공급 이외에도 조금씩 다른 활동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다고 합니다.
생협전국연합회 02-324-5488
두레생협연합회 02-3283-7290 www. dure.coop
한살림 02-3498-3600 www.hansalim.or.kr
여성민우회생협연합회 02-581-1675 www.minwoocoop.or.kr
한국생협연합회 032-633-2295 www.icoop.or.kr
한국YMCA전국연맹 02-754-7891 www.ymcakorea.org
대한YMCA연합회 02-774-9702 www.ywca.or.kr